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소년 심판 

    소년 심판은 지아법원의 소년부의 엄정판 판사(김혜수 분)가 부임하면서 소년 사건에 대한 복잡한 사건들을 다루면서, 소년범에 대한 반감, 정의와 형벌에 대한 균형을 다뤄 가는 이야기이다. 이른바 촉법소년이라는 명분 아래 성인범죄 못지않은 잔인한 범죄들이 일어나는 현실에 경종을 울리는 드라마이다. 어쩔 수 없는 상황 속에서 소년범이 될 수밖에 없었던 아이들의 이야기와, 그 과정에서 변질되어 가는 아이들의 순수함이 안타까움을 이끌어 내기도 한다. 하지만 죄를 지은 가해자가 있다면 반드시 피해자가 있는 법. 촉법소년이라는 것을 악용해 서슴지 않고 피해자를 만들어 내는 소년범에 대해 사회는 어떤 시선으로 이들을 바라봐야 하고, 어떻게 이러한 범죄를 예방하고 사후처리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다. 엄격한 판사로 나오는 심은석(김혜수 분)의 명연기와 그에 반해 다정한 판사로 나오는 차태주 판사 역에 김무열 배우의 상대적인 캐릭터가 사회가 소년범을 바라보는 시선을 대변한다. 그 외 강원중 판사 역에 배우 이성민, 나근희 판사 역에 배우 이정은이 열연한다. 소년범으로 나오는 배우들의 명연기도 이 드라마의 백미다. 사실상 이 드라마의 빌런이자 최종보스이기도 하다. 소년범들은 가정환경에 문제가 있는 아이들로 이루어져 있다. 단순히 가난한 환경과 폭행, 폭언으로 점철된 가정부터, 물질적으로 부족함이 없지만 정서적으로 결핍된 가정환경에서 자란 아이들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여러 가지 형태의 소년범죄를 다룬 이 드라마 속에서 실제로 소년범들이 어떤 처벌을 받고 교육을 받는지에 대한 부분은 사회적으로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 것이라 많은 시청자들의 관심을 받기도 했다. 그리고 소년범들과 함께 생활하는 가정이 나오면서 이러한 사회적 보호조치가 좀 더 많았으면 어떨까 하는 반응도 있었다. 너무 당연한 말이겠지만 청소년들은 우리 사회의 미래이다. 그런 청소년들이 어린 시절에 저지른 범죄나 잘못으로 인해, 낙인찍히고 앞으로의 삶을 살아가는데 두 번째 기회를 빼앗겨서는 안 되겠지만, 자신이 저지른 범죄나 잘못을 진심으로 반성하지 않고 갱생되지 못한 채 다시 사회로 나온다면 결국 성인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만 높아지는 사회가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또 다른 피해자가 나올 수 있고, 그런 상황을 방치한다면 결국 그것을 알면서도 놔둔, 어른들의 잘못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좀 더 유연한 생각을 가지고 있고, 본인의 선택보다는 환경적 영향에 의해 저지른 잘못이 많은 아이들에게는 변화와 갱생이 가능한 환경적 요인을 제공하고 올바른 교육을 시켜 오히려 더 멋진 어른으로 성장하게 만들어 주는 것은 어른들의 몫이 아닐까 하는 주제를 던져주는 드라마이다. 단순히 촉법소년의 잔인성과 처벌의 가벼움에 대한 부정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지 않고,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 어떤 해결책을 마련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고민하게 만드는 드라마, '소년심판'이다. 

    소년과 소녀들이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

    너무 당연한 이야기 이겠지만, 드라마에 등장하는 소년, 소녀범들의 가정환경은 불우하다. 정상적으로 밝고 명랑하게 살아가기 힘든 상황에 놓여 있다. 거기에 청소년기라는 시기까지 겹치게 되면, 작은 유혹에도 쉽게 흔들리게 된다. 하지만 주변에서 그 어떤 도움의 손길도 받지 못한 것이 안타깝다. 소년범들이 범죄를 저지른 과정을 듣고 보면, 대부분 안타까운 환경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한 일들이 잘못된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다. 혹은 부모님이나 환경에 대한 분노, 그리고 자주 집을 나오게 되는 상황에서 만난 친구들과 함께 일을 저지르다가 사고가 발생한다. 사건과 사고를 보면 벌을 주는 것이 맞나 하는 시선이 생기기도 한다. 하지만 문제는 소년범들의 태도이다. 삐뚤어진 시선과, 자신은 처벌받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아무렇지 않게 만들어 낸 피해자, 그리고 사과하지 않는 마음들이 이 소년들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을 주도록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물질적으로 부족함이 없이 자란 환경에서 정서적 결핍으로 인해 왕따를 만들고, 이를 아무렇지 않게 생각하는 소년범들의 연기는 실제로 소름 끼치기도 했다. 그런 자식을 두둔하는 부모와 판사 앞에서 아무렇지 않게 피해자 코스프레를 하는 장면은 저절로 눈살을 찌푸리게 하기에 충분했다. 그런 사건들을 연이어 보다 보면 저 아이들이 과연 나중에 사회에 나가서 어떤 어른이 될지, 심각한 걱정이 되기도 한다. 시청자들에게 우리 사회의 어두운 그늘에 있는 소년과 소녀들은 사실은 가장 긴급한 메시지로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청소년들을 위한 보호시설이 과연 실제로 얼마나 있을까. 결국 아무런 보호도, 교육도 제대로 받지 못한 아이들은 또다시 결핍에 이끌려 나쁜 유혹의 길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그렇게 하고 싶지 않아도, 자신들을 받아주는 곳이 결국 또 다른 어두운 그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드라마는 소년범들의 범죄를 사회적인 시선에서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계속해서 시청자에게 던지고 있다. 

     

    총평

     '소년심판'에서 이런 대사가 나온다. "저에게는 법관으로서 원칙이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내 법정은 감정이 없다.'그래야지 어떤 편견도 없이 냉철한 처분을 내릴 테니까요. 그러나 너무 뒤늦게나마, 이 소년법정에서만큼은 그래선 안된다는 것을 이제 깨달았습니다. 그런 의미로, 저 때문에 상처를 입었을 많은 분들에게 이 한마디를 대신하고 싶습니다. 미안합니다. 어른으로서." 법정은 감정을 배제하고, 냉철한 판단으로 범죄를 단죄하는 곳이 맞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사람이 범죄를 저지를 때 신체적인 부분과  물질적인 부분을 배제하고 오래도록 남는 것은 상처받고 피해를 받은 한 인간의 감정이 아닐까 생각한다. 소년심판은 그런 의미에서 지금도 여전히 사회적으로 소외받고 보살핌을 받아 마땅한 소년들의 마음을 돌봐줘야 하는 어른들의 마땅한 의무에 대해서 경종을 울리는 작품이다. 많은 시청자들이 이 드라마를 높게 평가하는 것도 바로 그런 이 유이에서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