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콘크리트 유토피아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대지진 이후 완전히 폐허가 된 세상을 보여준다. 유일하게 남아 있는 '황궁 아파트'를 중심으로 일어나는 사건들과 인물들의 변화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엄태화 감독은 자신이 연출부로 참여했던 감독인 박찬욱 감독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원작으로는 유쾌한 왕따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 정말 하루아침에 세상이 폐허가 되고, 가족들을 잃고, 터전이 사라진다면 사람들은 어떻게 될까? 재난 스릴러를 다룬 영화는 다양했지만, 그 속에서 영화 속 주제들은 다 저마다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유일하게 남아 있는 '황궁 아파트'를 마치 유토피아인 것처럼 설정했지만, 과연 그러할지는 영화를 끝까지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영화가 극장에서 내린 후에도, 꾸준한 사랑으로 넷플릭스 영화에서 인기를 모으고 있는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의 스토리를 알아가 보자. 

     

    콘크리트 유토피아 등장인물

    영탁(이병헌 분)은 황궁 아파트의 리더 격이다. 사람들을 선동하고, 외부로 음식을 찾으러 가는 과정에서 사람을 죽이고 해치는 것을 명분화 하는 인물이다. 민성(박서준 분)을 선동하여 사람을 해치게 하고, 사람들에게 황궁 아파트 외부의 사람들을 바퀴벌레라고 명명하며 공공의 적으로 돌린다. 자신이 황궁아파트 주민의 우두머리라고 생각하고, 새로운 세상을 건설하려고 한다. 하지만 사실 영탁은 황궁 아파트의 주민이 아님이 드러난다. 김민성(박서준 분)은 아내 명화(박보영 분)와 함께 살고 있으며, 영탁의 눈에 띄어 방범대로 발탁된 후 그의 조력자가 된다. 처음부터 그럴 의도는 아니었지만 점점 영탁에게 세뇌되어 영탁의 폭력적인 해결방식이 맞다고 믿다가 결국 영탁의 민낯을 보게 되어 우여곡절 끝에 아파트를 탈출한다. 주명화(이보영 분)는 민성의 아내로 간호사 출신이다. 황궁아파트에서 의료대로 활동하고 있다가 혜원의 폭로로 영탁이 실제 황궁 아파트 사람이 아님을 알게 되고 결국 남편 민성과 함께 황궁아파트를 탈출하지만 민성을 잃고 만다. 그밖에 많은 등장인물들이 사람들의 선과 악, 본능과 이성을 대비한 인물들을 실감 나게 표현했다. '나라면 저 상황에서 어떻게 했을까?'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끔찍한 재난 상황의 영화이다 보니, 이기적인 영화 속 주인공들의 선택에 선뜻 비난을 할 수가 없었다. 영화 속 캐릭터들은 저마다 자신이 처한 상황에 맞게, 누군가는 주동자가 되고, 누군가는 조력자가 되며, 누군가는 이들을 이간질시키고, 선동하는 중간자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극한의 상황을 설정한 영화가 아닐지라도, 경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현대 사회에도 그런 인물들은 여전히 존재한다.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에서는 그런 인물들이 조금 더 자극적으로, 극적으로 부각되었을 뿐이 아닐까 생각이 들기도 했다. 

    줄거리

    콘크리트 유토피아의 줄거리는 슬프다. 우리가 그토록 가지고 싶어 했던 세상은 모두 사라졌고, 그것이 허망한 것임을 깨닫기도 전에 무너지지 않은 한동의 아파트를 두고 입주민과 외지인들로 나뉘어서 생명을 건 싸움을 다시 시작한다. 물론 살아남았기 때문이고, 앞으로도 살아남아야 하기 때문임을 그 누구도 부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모두가 함께 이 상황을 이겨낼 수 있는 방법은 생각하지 않고, 오롯이 자기 자신을 위한 싸움에 몰두하는 것이 안타까웠다. 결국 누구보다 아파트를 외지인들로부터 지키려고 폭력을 서슴지 않았던 영탁이 황궁 아파트 주민이 아님이 밝혀지면서, 영화는 반전을 맞는다. 황궁 아파트의 주민들은 끝까지 외지인들로부터 자신들의 유토피아를 지킬 수 있을까? 그리고 황궁 아파트는 정말 유토피아가 맞긴 한 것일까? 코로나 펜데믹이라는 상황을 겪어서였을까, 충격적인 세상을 그린 영화가 결코 비현실적으로 다가오지만은 않았던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의 결말이 궁금한 관객들은 넷플릭스를 찾아오고 있다.  

     

    평가 

    이 영화는 대부분 호평을 받고 있다. 2023년 부일영화상에서 최우수작품상을 받았고, 주연이였던 이병헌과 박보형은 각각 남우주연상과, 올해의 스타상을 받았으며, 같은 해 대종상영화제에서도 최우수 작품상을 받았고, 이병헌은 남우주연상에, 김선영은 여우조연상을 받았다. 청룡영화상에서도 같은 상들을 받았다. 영화의 완성도와 작품성에서 팬데믹 이후 개봉한 한국 영화 중에 손에 꼽을 정도로 훌륭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대규모 재난이라는 극한의 상황 속에서 다양한 인간군상이 만들어 내는 어두운 분위기를 현재의 한국 사회에 빗대어 충격적이고도 훌륭하게 표현해 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아파트 내부인들 중에서도 계급화 문화를 보여주는 점, 아파트 내부인들과 외부인들과의 선민의식 등은 현대 사회를 돌이켜 보게 만드는 요소이다. 주연배우 이병헌의 연기도 물론, 주목할만하다. 입체적이고 설득적인 캐릭터들과 감독의 연출력이 만나 폐허가 된 서울의 영화속 현실은 비현실적이지만, 그 어느 때보다 현실적인 인물들이 등장하는 멋진 영화가 탄생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반응형